전체 글
-
useState, useRef, useEffect카테고리 없음 2025. 11. 11. 09:49
✅ 1. useState — 화면에 보여지는 값을 저장✅ 개념화면을 다시 그리게 만드는 상태값을 저장값이 바뀌면 컴포넌트가 리렌더링됨✅ 비유"게시판 글 수", "내가 입력한 텍스트", "다크모드 on/off" 같은 화면에 영향을 주는 값✅ 사용 예시 impor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Counter() { const [count, setCount] = useState(0); // count = 상태 값, setCount = 수정 함수 return ( div> p>현재 카운트: {count}p> button onClick={() => setCount(count + 1)}> +1 button> div> ); } ✅ count 값이 바뀌면 화면이 다시 렌더링됨✅ 2. ..
-
매핑, 페치카테고리 없음 2025. 11. 5. 09:54
매핑이란 해당 값이 다른 값을 가리키도록 하는 것 (1) URL 매핑“이 URL이 들어오면 이 함수를 실행시켜라.” @PostMapping("/users")public ResponseEntity register(...) { ... } 여기서 /users라는 요청이 오면,Spring이 register() 메서드를 자동으로 호출해줍니다.즉,URL → 메서드로 연결되는 “매핑(mapping)”입니다.(2) 데이터 매핑“요청 본문(JSON 등)을 Java 객체로 대응시켜라.” public ResponseEntity register(@RequestBody UserRequestDTO request) @RequestBody가 하는 일은:들어온 JSON 데이터를 Java 객체(UserRequestDTO)로 자동 변환..
-
보안.자격증/정보처리기사 2024. 12. 19. 16:56
1.ROP Return-Oriented Programming 리턴 지향 프로그래밍 공격기법. 이 공격 기법에서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리턴 명령어(ret instruction)**와 관련이 있습니다. ROP 공격은 기존의 프로그램 코드 내에서 끝에 리턴 명령어(즉, 함수가 끝날 때 호출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가젯(code gadget)을 연결하여 공격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이름이 이렇게 지어진 것 return ~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은 악성 코드를 삽입하여 이를 실행하는 방식ROP는 이미 **프로그램 내에 존재하는 코드 조각(가젯)**들을 활용하여 공격을 수행합니다.리턴 지향 프로그래밍(ROP)의 이름의 유래리턴 명령어(ret instruction):ROP 공격에서 리턴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 내에서..
-
useStateReact 2024. 11. 4. 09:00
사용법 1. 기능을 쓰려면 쓴다고 파일 상단에 외침. import { useState } from 'react';2. const [변수명, 변수명 변경 함수] = useState(변수초기값) https://ko.react.dev/reference/react/useState useState – ReactThe library for web and native user interfacesko.react.dev배열 구조 분해를 사용하여 [something, setSomething]과 같은 state 변수의 이름을 지정하는 것이 규칙입니다.useState는 React에서 컴포넌트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Hook입니다. 컴포넌트의 상태는 UI와 상호작용할 때 변경되는 값을 의미하며, 이러한 값이 변할 때마..
-
boilerplate카테고리 없음 2024. 10. 22. 20:52
다양한 양식과 계약서에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 표준화된 텍스트. React 또는 Bootstrap과 같은 도구를 단호하게 언급하기 위해 "라이브러리" 또는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반면, "Boilerplate"는 프로젝트 시작 속도를 높이기 위해 일부 구성이 이미 설정된 도구 및 콘텐츠 모음을 의미합니다. html 작성할때 !누르고 탭누르면 어느정도 뼈대를 자동완성해주듯 변하지 않는 틀, 템플릿 같은 느낌. java.react 등 기본틀은 달라 질 것같다. 보일러판때기의 의미는 보일러 판보다는 그와 유사하게 생긴 인쇄활자판에서 찾을 수 있다. 신문 인쇄시 늘 똑같은 부분과 매번 바뀌는 기사내용 부분이 있는데 전자를 뜻한다. 새 프로젝트를 시작할때마다 해주는 초기세팅 늘 같은 부분이다. 기사내용..
-
반응형, 적응형, 웹앱, 웹뷰카테고리 없음 2024. 10. 22. 20:23
웹 개발을 할때 스마트폰이 나오기 전엔 PC화면, 큰 화면만 생각하면 됐다.그러다 스마트폰이 강세가 되자 모바일화면, 작은 화면도 고려하기 시작했다. 기존 PC화면으로 서비스하던 웹사이트가 있는데 모바일화면을 대응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1. 미디어 쿼리를 사용해 디바이스 폭에 따라 크기를 조정하는 반응형 디자인.2. 기존 PC화면은 냅두고 모바일화면을 대응하는 새로운 웹사이트를 제공해 투 트랙으로 운영하는 적응형 디자인. 구분방법 - 브라우저 창을 조절했을 때, 터지거나 일그러지는 부분 없이 잘 보이면 반응형, 도메인 주소가 www. ,m. 이런 식으로 달라져 투 트랙으로 운영하면 적응형.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반응형 디자인 (Responsive Design..
-
DTO. 데이터 전송 객체.카테고리 없음 2024. 10. 21. 09:08
DTO는 Data Transfer Object의 약자로, 데이터 전송 객체를 의미합니다. 주로 시스템 간, 계층 간, 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객체입니다. DTO는 보통 여러 계층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단순화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웹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다음과 같은 계층이 있을 수 있습니다:클라이언트 (프론트엔드): 사용자가 요청을 보내는 UI가 있는 부분서버 (백엔드): 클라이언트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부분데이터베이스: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어떤 데이터를 보내거나,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응답할 때, 또는 서버 내부에서 데이터 처리 시,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식이 일관적이고 구조화되어야 합니다...